(14강) 더 복된 자

by 신윤식 posted Jun 01,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성경본문 전 4:1-3

전 4:1-3http://onlycross.net/videos/ecc/ecc-040103.mp4

 

설교듣기(클릭하세요)

 

<본문>

1.내가 다시 해 아래에서 행하는 모든 학대를 살펴 보았도다 보라 학대 받는 자들의 눈물이로다 그들에게 위로자가 없도다 그들을 학대하는 자들의 손에는 권세가 있으나 그들에게는 위로자가 없도다

2.그러므로 나는 아직 살아 있는 산 자들보다 죽은 지 오랜 죽은 자들을 더 복되다 하였으며

3.이 둘보다도 아직 출생하지 아니하여 해 아래에서 행하는 악한 일을 보지 못한 자가 더 복되다 하였노라

 

 

<설교>

선악과를 먹은 인간이 무엇을 추구하는지는 바벨탑을 쌓는 것으로 드러납니다. 그것은 또 말하되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 하였더니”(11:4)라는 말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자기 이름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인간이 바벨탑으로 자기 이름을 드러내고자 했던 것처럼 지금의 우리 또한 자신이 하는 일을 통해서 자기 이름을 드러내고 싶어 합니다. 이름이 드러날수록 세상이 인정하고 알아주는 위치에 있게 되면서 영웅 대접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항상 높아짐을 추구하는 인간의 속성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 속성에 의해 인간관계에서 드러나는 것 중의 하나가 학대입니다. 때문에 학대하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여러분은 자신을 학대하지도 학대 받지도 않는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학대를 물리적으로 억압하고 폭력을 행하는 것으로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약자에게 폭력을 쓰거나 욕을 하지 않고 온화하게 대하면 학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질문에 답을 해 보십시오,“여러분은 힘 있는 강자가 되고 싶습니까 힘없는 약자가 되고 싶습니까?”바꾸어 말하면 예수님의 말씀에 등장하는 부자가 되기를 원하는가 거지 나사로가 되기를 원하는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누구라도 강자 되는 것을 원합니다. 그리고 나는 강자가 되도 남을 학대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강자가 되고자 하는 것은 힘을 추구하는 것이고, 힘이 있어야 대접 받는다는 세상 속성을 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학대의 본성에 부합된 자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다만 약자에게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성품이 온화하다는 것으로 마치 학대와 무관하다는 착각에 있을 뿐입니다.

 

 

인간은 항상 윤리와 도덕이라는 틀 안에서 자신을 평가합니다. 그래서 자신에 대한 오해가 확산되면서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과도 무관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인간의 완악함이라면 누구도 완악하지 않다고 할 사람은 없습니다. 즉 모든 인간이 악하고 학대하는 자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인간은 자신이 완악과 학대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을 싫어합니다. 착함을 드러내어서나는 다르다는 평가를 받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완악함이고 결국 타인과 다른 자로 존재하고 싶은 그 자체가 학대에 속한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자신의 윤리, 도덕, 착함, 성품 등에 속지 말라는 것입니다.

 

 

1절에 보면 내가 다시 해 아래에서 행하는 모든 학대를 살펴 보았도다 보라 학대 받는 자들의 눈물이로다 그들에게 위로자가 없도다 그들을 학대하는 자들의 손에는 권세가 있으나 그들에게는 위로자가 없도다라고 말합니다.

 

 

인간이 존재하는 세상에는 반드시 학대가 있습니다. 권세를 가진 자들이 약자를 학대하고 학대 받는 자들이 흘리는 눈물이 있습니다. 그리고 학대 받는 자들을 위로할 위로자는 세상에 없습니다. 세상은 약자가 위로 받을 곳이 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세상의 형편이 의미하는 것은 세상이 하나님의 징벌 아래 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신자는 세상에서 죄를 실감하게 됩니다.

 

 

그래서 전도자가 2,3절에서 그러므로 나는 아직 살아 있는 산 자들보다 죽은 지 오랜 죽은 자들을 더 복되다 하였으며 이 둘보다도 아직 출생하지 아니하여 해 아래에서 행하는 악한 일을 보지 못한 자가 더 복되다 하였노라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전도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세상에서 대접받는 위치에 있고 힘을 가지게 된다 해도 결국 완악한 자로 살아가는 것 밖에 없으니 잘 된 것을 복이라고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죄의 세상을 떠나는 것이 복되고, 아예 죄의 세상에 오지 않는 것이 더 복된다는 것입니다.

 

 

22:21,22절에 보면 너는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며 그들을 학대하지 말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나그네였음이라 너는 과부나 고아를 해롭게 하지 말라고 말씀합니다.

 

 

이스라엘은 애굽에서 나그네의 처지였습니다. 고아와 과부처럼 의지한 부모와 남편이 없는 약자의 처지였습니다. 그로 인해 애굽 사람들에게 학대를 받는 세월을 보내다가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해방되어 가나안 땅에 거주하게 된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서 받은 모든 것은 보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받을 자격이 없는 자에게 베풀어진 은혜였습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 말미암은 것이고 하나님에 의해 존재할 뿐입니다. 따라서 소유의 많고 적음을 떠나서 강자와 약자라는 차별이 발생해서는 안되는 것이 이스라엘인 것입니다. 과부나 고아를 해롭게 하지 말라는 것도 이스라엘의 누구도 약자를 해롭게 할 권세와 자격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은혜로 존재함을 잊지 않는다면 그 증거는 고아와 과부를 학대하지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납니다. 하지만 고아와 과부가 학대를 받는다면 하나님의 은혜를 잊은 완악한 자라는 사실로 드러나게 됩니다. 그것으로 이스라엘 또한 이방인과 다를 바 없는 완악한 존재이며 저주에 속한 존재라는 것이 확실시 되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학대 받는 자가 존재하는 것은 하나님의 불공평한 처사가 아니라 세상이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살면서도 감사하지 않는 불의하고 완악한 존재임을 드러내기 위한 도구로 하나님이 있게 하셨다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해 아래에서 행하는 모든 학대를 보게 되면 세상이 악하다가 아니라 내가 악하다는 답을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에게서 좋은 것을 받고 싶어 합니다. 좋은 것을 받으면 인생이 편해지고 더 나아질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형편이 나아진다 해도 결국 먹고 마시며 육신으로 사는 것이 좀 더 편해지는 것이 전부입니다. 육신의 편함이 행복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을 아는 것이 세상을 보는 지혜입니다.

 

 

13:1-3절에 보면 형제 사랑하기를 계속하고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 이로써 부지중에 천사들을 대접한 이들이 있었느니라 너희도 함께 갇힌 것 같이 갇힌 자를 생각하고 너희도 몸을 가졌은즉 학대 받는 자를 생각하라고 말합니다.

 

 

죄에 갇혀 있고 학대하는 자는 천국에 합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학대 받는 자를 생각한다면 학대하는 본성으로 존재하는 자신은 천국에 합당하지 않는 자라는 것에 눈을 뜨게 될 것입니다. 천국을 기준으로 하면 학대 받는 자보다 나을 것이 없고 힘이 있고 대접을 받는 위치에 있다 해도 역시 복이라고 할 수 없음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인간이 자신을 바르게 보게 되면 유일한 희망은 모든 것을 용서하신 은혜로 오신 그리스도 밖에 없음을 알게 됩니다. 또한 대접받을만한 조건을 가졌다 해도 그리스도 안에서는 내 놓을 가치가 없음을 알고 십자가에서 흘리신 피의 은혜로 감사하고 기뻐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을 심령의 가난이라고 하고 이런 마음으로 형제와 함께 하는 것이 형제 사랑입니다.

 

 

심판 아래 있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원수로 존재하는 것보다 죽는 것이 복되고, 아직 출생하지 않아 세상의 악과 상관없는 것이 더 복되다고 하는 말의 의미를 깊이 생각해 보십시오. 세상에서 가장 힘 있고 높은 자리에 있다 해도 아직 출생하지 않는 것이 더 복되다면 세상에 복이라고 말할 가치 있는 것은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 세상으로 이미 보냄 받았습니다. 그렇다 해서 복을 위해 스스로 죽을 수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스스로 죽는다 해도 더 복되다고 하는 출생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는 없습니다. 전도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학대하는 자가 되지 말고, 약자에게서 눈물 흘리게 하지 말고 약자를 도와주라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복음이 아니라 윤리입니다.

 

 

전도자의 말은 힘을 추구하고 학대하는 본성으로 해 아래에 존재하는 인간의 악함을 보게 합니다. 누구도 해를 피해 살 수 없는 것처럼 누구도 학대하는 인간의 악한 본성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그것으로 인간은 저주의 대상일 뿐이라는 사실이 확실히 드러납니다.

 

 

이러한 인간됨에서 빛을 발하는 것은 용서의 은혜입니다. 아직 출생하지 않은 것을 복되다고 말하지만 그보다 더 복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의 원수로 출생하여 인간의 악함을 보게 되고 용서의 은혜를 만나고 은혜에 눈을 뜨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용서를 받았기에 용서를 전달하고 드러내게 된다면 그보다 더 복되다고 할 것은 없습니다. 그래서 신자의 영광은 용서와 사랑의 도구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Chapter 14

 

The Happier

 

So I returned, and considered all the oppressions that are done under the sun: and behold the tears of such as were oppressed, and they had no comforter; and on the side of their oppressors there was power; but they had no comforter.

Wherefore I praised the dead which are already dead more than the living which are yet alive.

Yea, better is he than both they, which hath not yet been, who hath not seen the evil work that is done under the sun. (Ecclesiastes 4:1-3 KJV)

 

(Sermon)

 

What men after having eaten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pursue is revealed through the Tower of Babel. That is to lift up their names, described in Genesis 11:4, “And they said, Go to, let us build us a city and a tower, whose top may reach unto heaven; and let us make us a name, lest we be scattered abroad upon the face of the whole earth.”

 

As such, we would also like to do the same by what we do because the more the name is prevalent, the higher position we take in the world. This is our nature, wishing to be better, one of whose characteristics is to oppress others. Thus, there is no one not oppressing others.

 

You might think you don’t oppress others or are oppressed by others either. Yet, it is only thinking of physical or mental matter. Thus, as long as you don’t oppress or curse but treat the weak in kindness, you may think it is not oppression.

 

Then, answer this question, “would you like to be the strong or the weak?” In other words, “would you like to be the rich man or Lazarus, the beggar?” in the parable of Jesus. All wish to be the strong, thinking ‘I won’t oppress others even if I become the strong.’

 

However, wishing to be the strong is pursuing power, following the nature of the world, fitting to the character of oppression. It is a mere mistake to think you have nothing to do with oppression as long as you are not violent but kind to others.

 

We evaluate ourselves in the box of morality and ethics, so we further to think in such misunderstanding that we even have nothing to do with crucifying Jesus. If this is our wickedness, there is no one claiming, ‘I’m not wicked.’ That is, all live, being wicked and oppressing others.

 

Nevertheless, we don’t want to belong to the category of the oppressor, trying to be different by doing good deeds. Yet, we should know such nature is nothing but wickedness and ‘wanting to be different from others’ itself categorizes us as the oppressor. We must not be deceived by our ethics, morality or good character.

 

In Verse 1, it says, “So I returned, and considered all the oppressions that are done under the sun: and behold the tears of such as were oppressed, and they had no comforter; and on the side of their oppressors there was power; but they had no comforter.”

 

Wherever man is, there is oppression. The oppressor oppresses the weak with power, and the weak are oppressed in tears. And, there is no one comforting the oppressed, meaning the world is not a place of comfort for the weak. It reveals the fact that the world is under the judgement of God. Thus, believers sense sin in the world.

 

That’s why the Preacher says in Verses 2 and 3, “Wherefore I praised the dead which are already dead more than the living which are yet alive. Yea, better is he than both they, which hath not yet been, who hath not seen the evil work that is done under the sun.”

 

He is saying that there is none good in the world because all end up living evil no matter how successful they are and it is good to leave such world and better not to be born.

 

In the Book of Exodus 22:21-22, “Thou shalt neither vex a stranger, nor oppress him: for ye were strangers in the land of Egypt. Ye shall not afflict any widow, or fatherless child.”

 

The Israelites were strangers in Egypt like widow and fatherless child, having nothing to depend on. As they were oppressed by Egypt, they were freed by God and came to dwell in Canaan.

 

What they got in Canaan was not compensation but the grace of God, which they didn’t deserve. All was of God and they were by God. Thus, it is being Israel that there is no differentiation of the strong and the weak. No affliction of the widow and fatherless child also means there is no one in Israel deserving to oppress others.

 

When the Israelites remember the grace of God, it is revealed that they don’t oppress the weak. Yet, the weak are oppressed, it means they are nothing but wicked, forgetting the grace of God, no different from gentiles.

 

In this sense, that there are the oppressed doesn’t mean God is unfair but it means God let them in the world to show us that even though all live in the grace of God, we are unthankful, unrighteous, and evil. Therefore, when seeing the oppressed, we ought to notice, ‘I am evil’, not ‘the world is wicked.’

 

We would receive something good from God, hoping our life will be better and more comfortable. Yet, even so, it would be all that our fleshly life will be better. But, our happiness is not in our flesh. To know such is the wisdom to perceive the world.

 

In the Book of Hebrews 13:1-3, it says, “Let brotherly love continue. Be not forgetful to entertain strangers: for thereby some have entertained angels unawares. Remember them that are in bonds, as bound with them; and them which suffer adversity, as being yourselves also in the body.”

 

Anyone who is in sin and oppresses others doesn’t belong to the kingdom of heaven. Thus, thinking of the oppressed, we come to find that we, the oppressor, don’t deserve the kingdom. In the aspect of heaven, no power or position can make us better than the oppressed.

 

When one comes to see oneself truly, one will realize one’s only hope is in Jesus Christ. Even if one is in the position of being highly treated by others, one knows it is not of oneself, being thankful and joyful for the grace of the blood shed on the cross. This is called the poor in spirit and when we are gathered in such heart, we are in brotherly love.

 

Ponder deeply the meaning of the statement that death is better and not being born is even better than living in the world, under the judgement of God. We can say that there is no blessing in the world as not being born is better no matter what power or position one has.

 

Yet, we have already been sent to such world. Nonetheless, it is not that we should kill ourselves for the better. Even if we die, we can’t go back to not having been born, which is better than dying. The Preacher is not saying not to be the oppressor nor help the weak. That is not gospel but ethics.

 

The word of the preacher leads us to see our sinful nature, pursuing power in the character of the oppressor. As no one can shun the sun light, no one can do away with such nature, by which we are to be judged by God.

 

In such nature, the grace of forgiveness shines through. Although the passage says not being born is happier, what is happier than that is that one comes to open one’s eyes to see the grace of forgiveness even though one is born in enmity of God. Since one is forgiven by God, there is nothing better than the fact one is presenting the forgiveness of God as being forgiven. That’s why the glory of believers is to be used as the tool of the forgiveness and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