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
2018.03.10 15:36

(45강) 그림자 같구나

조회 수 159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욥 17:6-16http://onlycross.net/videos/job/job-170616.wmv

설교듣기(클릭하세요)

 

 

<본문>

6.하나님이 나를 백성의 속담거리가 되게 하시니 그들이 내 얼굴에 침을 뱉는구나

7.내 눈은 근심 때문에 어두워지고 나의 온 지체는 그림자 같구나

8.정직한 자는 이로 말미암아 놀라고 죄 없는 자는 경건하지 못한 자 때문에 분을 내나니

9.그러므로 의인은 그 길을 꾸준히 가고 손이 깨끗한 자는 점점 힘을 얻느니라

10.너희는 모두 다시 올지니라 내가 너희 중에서 지혜자를 찾을 수 없느니라

11.나의 날이 지나갔고 내 계획, 내 마음의 소원이 다 끊어졌구나

12.그들은 밤으로 낮을 삼고 빛 앞에서 어둠이 가깝다 하는구나

13.내가 스올이 내 집이 되기를 희망하여 내 침상을 흑암에 펴놓으매

14.무덤에게 너는 내 아버지라, 구더기에게 너는 내 어머니, 내 자매라 할지라도

15.나의 희망이 어디 있으며 나의 희망을 누가 보겠느냐

16.우리가 흙 속에서 쉴 때에는 희망이 스올의 문으로 내려갈 뿐이니라

 

 

<설교>

신자는 자신의 구원 문제에 집중해야 합니다. 구원을 받기 위해 힘쓰라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해서 구원에 참여하게 되었는지 그 내막에 집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대개의 기독교인들은 구원의 내막보다는 자신의 구원을 확인하고 싶어 합니다. 구원을 확인함으로써 자기 구원 문제에 대해서는 안심하고 싶은 마음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그 때문에 장사꾼과 같은 목사들의 말에 흔들리면서 참된 신앙의 길로 가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오늘날 한국교회의 실상이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신앙은 실종되고 교인들을 죄책감에 빠지게 하여 구원 문제에 불안감을 갖게 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열심 있는 교회생활을 요구하는 것들이 한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신앙은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의를 믿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의가 구원의 능력이 됨을 믿는 것이 믿음의 본질이고 근본입니다. 그러므로 이 믿음에는 인간의 의는 요구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인간은 의와 선 앞에서는 무능하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 믿음입니다.

 

 

그런데 믿음을 오해한 기독교인들이 자기 믿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인정받고 싶어 합니다. 자신들이 신앙하고 믿는 그리스도가 세상이 열광하고 인정하는 길이 아니라 조롱하는 길로 가신 분이라는 것은 까맣게 잊고 있습니다. 결국 그리스도와 상관없는 길을 지향하고 그 길을 가고자 하면서도 스스로는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믿음은 우리로 하여금 인간은 선과 의 앞에서는 무력하다는 인식을 갖게 합니다. 즉 믿음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 그로 인해 자기에 대한 절망이 있게 하면서 십자가를 믿는 믿음의 세계가 어떤 것인가를 이해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 믿음이 견고할 때 신자는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무엇을 해도 자신이 한 일에 매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자신이 한 일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일이 자신을 의롭게 했음을 알기 때문입니다.

 

 

만약 우리의 열심 있는 신앙생활이 의가 되어 하나님께 인정받을 수 있다면 예수님도 고난의 길로 가실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에게 모본이 되는 신앙생활을 사시고 ‘나를 본 받아라’하시면 될 것입니다.

 

 

이 점에 있어서는 욥도 다르지 않습니다. 완벽하다고 할 수 있는 욥의 신앙생활을 인정하고 그를 모본으로 삼아 신앙생활을 잘하도록 힘쓰라고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사실 지금의 한국교회가 성경을 그렇게 이해하면서 교인들에게 믿음으로 인정할 만한 삶을 살도록 요구합니다.

 

 

누가 봐도 철저한 신앙생활에 힘썼던 욥을 하나님이 어떤 길로 인도해 가시는지를 보십시오. 욥의 신앙생활에 문제가 있거나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고난을 통해서 배우게 하고자 하시는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고난을 받는 욥을 따라가면서 하나님이 알게 하시는 것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1절의 “나의 기운이 쇠하였으며 나의 날이 다하였고 무덤이 나를 위하여 준비되었구나”는 말을 보면 욥은 자신을 죽음의 존재로 인식합니다. 죽음의 존재로 인식하면서 하나님만을 자신의 보증인으로 바라보게 되고, 자신은 그림자와 같은 존재일 뿐이라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6절을 보면 “하나님이 나를 백성의 속담거리가 되게 하시니 그들이 내 얼굴에 침을 뱉는구나”라고 말합니다. 이것이 기독교인들에게는 전혀 생각한 바가 없는 생소한 하나님입니다. 백성의 속담거리가 되고 얼굴에 침 뱉음을 받는 것은 조롱거리가 되었다는 뜻인데 이것이 하나님이 끌어가시는 욥의 길이기에 우리가 기대하는 하나님의 일하심은 없는 것입니다.

 

 

우리는 세상에서 가치 있는 존재됨에 마음을 두고 살지만 하나님은 세상이 아닌 하늘의 완성된 영광의 존재가 되게 하고자 하십니다. 욥을 그러한 존재가 되게 하시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면 왜 꼭 고난으로 인도하셔야만 하는 것일까요? 고통을 겪지 않으면 하늘의 영광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일까요?

 

 

이러한 문제에서 신자가 늘 간과하는 것은 영광의 존재가 되게 하는 것이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라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나를 위한 구원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구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자신에게 초점을 두기 때문에 고난이 없는 편한 삶과 함께 구원도 확보하고 싶어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선과 의에 대해서는 무력한 존재입니다. 그런 우리를 그리스도로 하여금 고난의 길로 가게 하시고 그리스도의 순종하심이 의가 되어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의 영광된 존재가 되게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신자는 자기의 구원으로 기뻐할 것이 아니라 구원될 수 없는 자를 구원하시고 하늘의 영광을 누리게 하신 하나님의 은총과 긍휼하심으로 감사하고 기뻐해야 합니다. 그것이 하나님께 영광이 됩니다.

 

 

그래서 신자는 그리스도의 고난과 그리스도가 이루신 의 앞에서는 모든 존재 가치가 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신앙생활을 잘했다 해도 그 또한 가치 없는 것으로 사라질 뿐입니다. 욥은 아마 고난을 겪으면서 자신이 행했던 모든 신앙생활이 하나님 앞에서는 의가 되지 못하는 가치 없는 것임을 알았을 것입니다. 그 심정으로 자신의 온 지체는 그림자 같다는 말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시 144:3,4절에 보면 “여호와여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알아 주시며 인생이 무엇이기에 그를 생각하시나이까 사람은 헛것 같고 그의 날은 지나가는 그림자 같으니이다”라고 말합니다.

 

 

그림자는 존재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헛것 같다는 말을 합니다. 인간이란 존재가 하나님 앞에서 그와 같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 하나님을 알게 되었다는 증거입니다.

 

 

이처럼 자신이 헛것 같고 그림자 같음을 알게 되면 자신의 존재 가치라는 것은 의미 없음을 자각할 것입니다. 신앙 좋은 사람으로 인정받는 것이나, 인품이나 행실이 훌륭하다고 인정되는 것들이 그리스도의 고난으로 완성된 의의 세계에서는 아무 가치가 없는 것들이고 쓸모없음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신자는 그렇게 자신이 하나님께 붙들려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때문에 신자는 자신의 존재감에 대해 관심 둘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스도 안으로 부름 받아서 그리스도의 피의 은혜로 거룩한 자로 여김 받는데 존재감이라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의 영광을 누리는 존재로 확정되었다는 것이 신자가 자랑할 존재감일 뿐입니다.

 

 

욥이 11절에서 “나의 날이 지나갔고 내 계획, 내 마음의 소원이 다 끊어졌구나”라고 말합니다. 이것이 자기의 뜻과 계획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과 목적에 이끌려 가는 인생임을 깨닫게 된 신자가 말할 수 있는 고백입니다.

 

 

하나님의 목적 안에서는 내가 원하는 나의 날, 나의 인생은 지나가 버린 것처럼 없는 것입니다. 내 계획도 소원도 모두 다 끊어졌습니다. 그래서 희망은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뿐입니다. 그렇게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선하심만을 의지하게 되는 것이 하나님에 의해서 새롭게 되는 백성다움입니다.

 

 

13-16절의 “내가 스올이 내 집이 되기를 희망하여 내 침상을 흑암에 펴놓으매 무덤에게 너는 내 아버지라, 구더기에게 너는 내 어머니, 내 자매라 할지라도 나의 희망이 어디 있으며 나의 희망을 누가 보겠느냐 우리가 흙 속에서 쉴 때에는 희망이 스올의 문으로 내려갈 뿐이니라”는 말을 보십시오.

 

 

스올은 죽음의 세계인데 죽음의 세계를 희망이 있는 곳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흙속에서 쉴 때 희망이 스올의 문으로 내려간다는 말이 죽음의 세계에 있는 안식을 생각하게 하는 것입니다.

 

 

욥이 어떤 마음과 생각으로 이런 말을 하는 것일까요? 사실 생각해 보면 죽음의 세계에서는 자신의 존재 가치를 위해 힘써야 할 것이 없고 또한 자기 존재로 인해 조롱 받는 것도 없기 때문에 그런 의미에서 스올이 희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로 죽어야 안다기보다는 욥과 같은 깊은 절망의 자리에서 자신을 죽은 자로 바라보게 될 때 욥과 같은 깨달음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에게는 십자가의 세계입니다. 십자가 안에서 자신을 죽은 자로 바라봄으로써 세상이 인정하는 가치 있는 존재가 되는 것보다 그리스도의 생명이 있는 자라는 것에 존재 가치와 의미를 둘 것입니다.

 

Chapter 45

 

As A Shadow

 

He hath made me also a byword of the people; and aforetime I was as a tabret.

Mine eye also is dim by reason of sorrow, and all my members are as a shadow.

Upright men shall be astonied at this, and the innocent shall stir up himself against the hypocrite.

The righteous also shall hold on his way, and he that hath clean hands shall be stronger and stronger.

But as for you all, do ye return, and come now: for I cannot find one wise man among you.

My days are past, my purposes are broken off, even the thoughts of my heart.

They change the night into day: the light is short because of darkness.

If I wait, the grave is mine house: I have made my bed in the darkness.

I have said to corruption, Thou art my father: to the worm, Thou art my mother, and my sister.

And where is now my hope? as for my hope, who shall see it?

They shall go down to the bars of the pit, when our rest together is in the dust. (Job 17:6-16 KJV)

 

(Sermon)

 

Believers must focus on the matter of salvation. It doesn’t mean they must focus on being saved but aware of the behind story of how they’ve come to participate in salvation. Yet, most christians would like to make sure their salvation rather than to know what’s behind. It is because they want to be relieved from the salvation matter.

 

Because of that, many walk on the wrong way of faith while controlled by businessmen-like preachers. It is not wrong to say that the reality of the modern Christianity is not far from here. Preachers put aside the faith of the cross of Christ, and make congregations doubt their salvation, and force them to devote to church works for the solution of the doubt.

 

The faith of the cross of Jesus Christ is to believe in the righteousness that Christ has revealed. It is the foundation and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faith that the righteousness of Christ is the power of our salvation. Therefore, such faith requires no human righteousness. It would rather let us know that we are powerless before righteousness and goodness.

 

Yet, many christians who misunderstand faith would like to be acknowledged by showing their faith while forgetful that Christ, whom they think they believe in, is the One, who walked a way that the world doesn’t acknowledge but mock and despise. After all, they are mistaken that they assume they have faith while they are walking the wa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at of Christ.

 

Yet, faith makes us know that we are helpless before goodness and righteousness. In other words, it opens our eyes to see there is nothing we can do, by which we despair and lets us understand what the world of believing in the cross is. Believers can do all when they are solid in such faith, which means that they aren’t entangled by whatever they do in the knowledge that they are justified by what Christ has done, not by what they have done.

 

If our zeal for the life of faith could be acknowledged by God, Jesus wouldn’t have needed to be in the agony. It would have been good enough for Him to tell us, “follow me”, after He showed us an exemplary life.

 

In this aspect, Job’s case is not different. It would have been OK to follow Job, who was perfect and eschewing evil in the life of faith. It is true that the modern Christianity teaches the Bible in this manner and demands people to live as good as their faith is acknowledged by others.

 

Look at how God led Job, whose life of faith was commended by others. It is not because his life wasn’t good enough, but there is something Job needs to learn through the afflictions. Thus, we should pay all attention to what God teaches us while following Job in the afflictions.

 

In Verse 1, we learn that Job recognizes himself as a dead one, saying, “My breath is corrupt, my days are extinct, the graves are ready for me.” In this awareness, he sees God as his only security and himself as a shadow.

 

In Verse 6, it says, “He hath made me also a byword of the people; and aforetime I was as a tabret.” It must seem strange to us. This is the way that God is leading Job to such as making Job a gossip and his face people spit, which is far from our expectation of the work of God.

 

Whereas we want to be valuable beings in the world, God wants us to be in the heavenly glory. If that is the will of God, why is God putting Job into such afflictions? Is it because he can’t be in the glory of heaven without the experience?

 

What we are apt to miss in such matter is that our being in the glory is not for us but for God. In other words, the salvation is not for us but for the glory of God. Yet, we would like to secure the salvation as well as our comfortable life for our own sake as orbiting ourselves.

 

We are powerless about ‘good and just.’ Yet, God let such people like us be in the heavenly glory as He let Christ walk on the afflictions by the obedience. Thus, believers shouldn’t be joyous for the salvation but thankful for the grace and mercy of God, who saved us who can’t be saved and let us enjoy the glory. Such work is the glory to God.

 

Therefore, our beings are meaningless and no value before the afflictions of Christ and righteousness He has accomplished. No matter how hard we live for the life of faith, it evaporates before Him. Job must have realized that his life was valueless, having no righteousness before God, in the afflictions. That’s why he probably says he is a shadow.

 

In Psalm 144:3-4, it says, “O LORD, what is man that you care for him, the son of man that you think of him? Man is like a breath; his days are like a fleeting shadow.”

 

A shadow seems to exist but it doesn’t. That’s why it says like a breath. It is the evidence of knowing God that one realizes men are like that before God.

 

If one is aware of that, one will find that one has no value of one’s being, knowing that one’s acts, characters or acknowledgement of others are useless in the righteousness of Christ. Believers come to understand that they are captured in such world by God.

 

Thus, there is absolutely no reason for them to be interested in themselves. Why would it be significant since they are deemed the righteous and sanctified in Christ by the blood and grace of Himself?

 

Job says in Verse 11, “My days have passed, my plans are shattered, and so are the desires of my heart.” This is the confession of a believer who comes to know that one is not moving to one’s plan and will but led by the will and purpose of God.

 

In God’s purpose, one’s days and life are all gone. One’s plan and desires are all broken. The only hope is God, who brings all together in goodness. Thus, we can say that it is the people of God that come to depend on God’s faithfulness and goodness in their regenerated hearts.

 

Look at Verses 13 to 16, “If the only home I hope for is the grave, if I spread out my bed in darkness, if I say to corruption, 'You are my father,' and to the worm, 'My mother' or 'My sister,' where then is my hope? Who can see any hope for me? Will it go down to the gates of death? Will we descend together into the dust?"

 

The grave means the world of death, but he is saying he hopes for it. ‘Will it go down to the gates of death? Will we descend together into the dust?’ means the resting place in death.

 

Why do you think Job is saying such? It could be pondered of the hope of grave that the world of death is where there is neither striving for nor mocking one’s value.

 

It doesn’t mean that one will find it out once one dies, but one will understand it when one sees oneself as dead in the profound seat of despair. This is the world of the cross before us. We put all of our values meanings not in things in the world but in the life of Christ as we see ourselves as dead in the cross!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 욥기 (40강) 악인의 운명 신윤식 2018.01.27 1809
367 욥기 (41강) 재난을 주는 위로자 신윤식 2018.02.03 1978
366 욥기 (42강) 다른 하나님 신윤식 2018.02.10 1516
365 욥기 (43강) 나의 증인 신윤식 2018.02.17 1680
364 욥기 (44강) 담보물 신윤식 2018.03.03 1838
» 욥기 (45강) 그림자 같구나 신윤식 2018.03.10 1596
362 욥기 (46강) 악인의 운명 신윤식 2018.03.17 1927
361 욥기 (47강) 억울하게 하시고 신윤식 2018.03.24 1563
360 욥기 (48강) 조롱과 멸시 신윤식 2018.03.31 2038
359 욥기 (49강) 그를 보리니 신윤식 2018.04.07 1747
358 욥기 (50강) 자기의 똥처럼 신윤식 2018.04.14 1845
357 욥기 (51강) 악인의 기업 신윤식 2018.04.21 1716
356 욥기 (52강) 악인의 번성 신윤식 2018.04.28 1665
355 욥기 (53강) 남겨둔 악인 신윤식 2018.05.05 2057
354 욥기 (54강) 네가 의로운들 신윤식 2018.05.12 2281
353 욥기 (55강) 반항하는 마음 신윤식 2018.05.19 2343
352 욥기 (56강) 순금 같이 신윤식 2018.05.26 1605
351 욥기 (57강) 정하지 않은 때 신윤식 2018.06.02 1345
350 욥기 (58강) 광명을 배반 신윤식 2018.06.09 1358
349 욥기 (59강) 잠깐 동안 신윤식 2018.06.16 1475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1 Next
/ 31